韓國의 식물(440)
-
왕과
왕과(박과) NIKON F4s 105macro F4 AE VELVIA 50 왕과 햇볕이 잘드는 숲 가장자리나 초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다년초. 줄기는 모가 나고 긴털이 밀생하며 다른 물체에 덩굴손으로 얽혀서 자란다. 꽃은 7~8월에 노란색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단성이고 꽃받침조각은 녹색으로 5개이고 화관은 5개로 노란색이고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다육질의 긴 타원형 장과이다. 2006년 1월 21일 들꽃산꽃山人/ 白英雄(Simon)
2006.01.21 -
산사나무
산사나무 열매 늘 그랫듯이 가을로 들어서면 가을 꽃도 촬영하면서 또 열매를 촬영하는 것을 빼놓을 수 없었다. 여기 산사나무 열매도 마침 나무가 촬영하기 좋게 조그만 나무에다 밤 사이에 물방울을 달고 있어서 위에서 우측으로 비스듬히 내려 빛이는 광선 상태기 좋았다. 거기에 푸른 숲을 배경으로렌즈에 크로스휠타를 끼고 앵글을 찾고 밑에서는 레프를 60˚ 정도 좌측에서 빛추어 포커스를 맞추어 촬영 할 수 있었다. 2006년 1월 21일 들꽃산꽃山人/ 白英雄(Simon) 산사나무(장미과) *data ; ASAHI PENTAX 6×7 130 macro F4,5 + tub sec 1/60 cross filter. film/ velvia 50.
2006.01.21 -
노루귀/ 제9회「자연의 숨결」전람회 출품
제9회「자연의 숨결」전람회 출품 * Nikon F4S 105 macro F5.6 AE film VELVIA 50. 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검은바위 밑에 피는 노루귀를 몇 해를 두고 보고 예쁘게 촬영해 생협 전람회에도 출품을 했는데 어느 해 봄 흰얼레지를 찾으러 가면서 이 장소에 들렸으나 노루귀는 온데 간데 없이 사라지고 ..
2006.01.19 -
매발톱꽃
매발톱꽃(미나리아재비과) . 매발톱꽃(미나리아재비과) 북한강변에서 이 매발톱꽃을 우연찬게 봤을 때 즐겁고 기뻣던 내마음은 잠시 동심으로 돌아가 마냥 즐거운 마음속에 춘천가도 넘어 산기슭과 강변의 수초를 배경으로 카메라를 낮추어 위를 보고 촬영하고 나머지 한 컷은 조금 언덕진 곳에서 자리잡고 핀 한 그루가 있어서 강변의 물결이 은빛으로 빛나는 시정이 담긴 배경으로 세로로 촬영 할 수가 있었다. 2006년 1월 18일 들꽃산꽃山人/ 白英雄(Simon)
2006.01.18 -
구룡령의 雪花
구룡령의 한겨울 구룡령 봄은 언제 오려나... 구룡령에서 갈전봉으로 가는 능선에 雪花가 만발하여 장관을 이루는데 그 아름다운 산꽃 요정들은 언제 쯤 잠에서 깨어 날런지... 산기슭 나무아래 바위틈 사이에 조그맣고 귀엽고 예쁘게 피어나서 나와 카메라를 즐겁게 해주던 그 산꽃요정들... 낙엽 깔린 땅 속에서 잔뜩 움추리고 꽃피울 봄을 기다리고 있겠지요. 분홍색으로 곱게 단장하고 피었던 큰앵초의 치마자락은 예쁘기도했지. 하얀 종처럼 매달려 숲바람에 춤추던 그대 이름은 하얀 은방울꽃이여! 2006년 01월 16일 들꽃산꽃山人 : 시몬 白英雄 은방울꽃(백합과)
2006.01.16 -
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 1. 이런 자리를 만나기란 그리 쉽지 않지만 군락 중에 찾아 여유로운 프레이밍으로 촬영해 보셔요. 너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의 씨앗 너도바람꽃 2. 좌, 우의 여백이 너무 없이 프레이밍을 잡아 답답한 느낌이 드는 사진이죠. 상, 하의 공간처럼 좌,우에도 공간처리를 하시고 촬영하셔요. 용도에 따라 트리밍 작업하기도 좋답니다. 너도바람꽃 1. 가로 사진과 너도바람꽃 2. 상, 하 사진을 보면서 비교해 보셔요. 같은 위치에서 프레이밍을 세로로 세워서 또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는 사진으로 세련미를 찾을 수가 있지요. 2006년 1월 22일 들꽃산꽃山人/ 白 英 雄(Simon)
2006.01.15